밀리팟
9cbfedcc93c4c934b0b1b764b9dd2fbebd6b450ckew5.jpg

 

밀리팟

[톡방썰 1.] 중국해군의 리즈시절은 언제? 우리 군에게 희망은 있나?

작성자 정보

  • 도깨비 작성
  • 2022.10.04 17:24
  • 조회 82 조회
댓글 3

관련자료

본문

아래글은 밀리팟 단톡방의 “여진족 개굴이”님이 올려주신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3줄 요약


1. 중국해군은 2000년대 들어 폭발적인 양적확장을 한 상태이다. 
2. 함령을 감안하면 2040년대 일시 퇴역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3. 인구 및 경제력 감소를 감안하면 2040~50년대에는 중국해군의 급격한 축소가 예상된다! 

 

 

소햏은 중국해군 썰을 풀어보려고 하는디요. 
중국해군의 특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만, 소햏에게 젤 인상적인 부분은 무시무시한 건조속도 같슴다.

중국의 경제력이 급속히 팽창하게되자, 2000년대 들어 중국의 함정건조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게되는데,소햏이 10년쯤 전에 제인연감을 보며 중궈의 연도별 함정 건조척수를 
세어보는 변태짓을 했었습죠. 적은 해는 한해에 10여척, 많은 해는 무려 30여척을 만들어버리더군요
 

단적인 예로, 숫자상 가장 많은 함정인 056형 초계함! 

https://namu.wiki/w/056%ED%98%95%20%EC%B4%88%EA%B3%84%ED%95%A8
여기를 눌러 링크를 확인하세요.
namu.wiki

 

이 친구의 경우, 이미 70척을 돌파한 상태이고, 몇년 전 봤던 뉴스에 따르면 100척넘게
건조할 가능성도 있다고 하더군요. 아무리 중국 기술이 개판이고, 무기가 개판이어도 
이 정도 숫자가 되어버리면 겁이 나지요. 해군은 육군과 달라서, 집중운용이 훨씬 용이하다는 
점은 소햏의 그런 공포를 더욱 부추기는 요소임다.

 

이 방에 계신 형님들께서 더 잘 아시다시피 중국은 엄청난 길이의 국경선을 갖고 있고, 
신장, 티벳, 인도국경처럼 상시 일정수준 이상의 병력을 주둔시켜야하는 곳이 많아서, 
육군이 대군이더라도 실제 어느 한곳에 집중시킬 수 있는 전력의 총량에는 분명 한계가 있습죠
그러나 해군은, 몰빵운용이 가능합니다.예를 들어, 대만에 침공한다고 가정하면 수리함정을 
제외한 모든 함정을 대만 인근 해역에 집결시키는게 가능하다는 것입죠. (해군은 집중운용이 가능하니?)

 


그런데 한편으로는 이러한 무시무시한 건조속도에서, 소햏은 희망의 싹을 보고 있슴다. 
인구에 비유하자면, 2000년대 이후 대량 건조된 중국의 신형 군함들은 일종의 베이비 부머 
세대라고 볼수 있을 것 같슴다. 군함의 통상적인 수명이 30~40년 사이라고 가정하면
(물론 극단적으로 더 오래 굴려먹는 사례도 일부 있습니다만), 대략 2040년대를 전후하여 
대량의 군함이 일시에 퇴역해야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인디

 

그시기에도 중국이 지금의 경제력을 유지하고 있다면, 퇴역하는 만큼 더 만들어서 채우면 되니 
큰 문제 없겠으나, 만약 경제력이 쇠퇴한다면 급격히 해군력이 축소되는 상황이 올수도 있지 않은가 싶슴다
(일리가 있네요. 시기별 건조가 아닐 몰빵건조니까..) 
결국 군사력은 경제력에 기반한 것이니, 미래 중국의 군사력 예측은 경제력 예측이 반드시 선행되어야할텐데, 
이런저런 자료들을 뒤적거려보면 2040년대 중국의 경제력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많더군요

 


다만 최근 들어서는, 중국이 쇠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미세하게 우위를 점하는 듯 싶슴다. 중국의 강력한 빠워의 
원천이라 할 수 있는 인구의 경우 어떤 학자는 최소 작년부터(어쩌면 수년전부터) 중국의 인구감소가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더군요. 게다가 인구구조도 엉망이 되어서 중국도 빠르게 고령화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보이는데,

 

383db70865adb7446665e0347bd3903df64757f4iomk.jpg

 

저 그래프를 보시면 주 경제활동인구인 30~40대 인구에 비해, 20대 이하 인구는 감소추세입니다. 그렇다면 
가장 많은 세대이자, 가장 경제활동이 활발한 현 3040세대가 은퇴하게되는 대략 30년 후가 되면 중국도 연금 등 
고령화로 인한 부작용이 큰 사회적 경제적 문제가 될 것이고, 점점 정체되어가는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감안할 때 
거기서 다시 10여년이 더 지나면, 즉 2040년대가 되면 경제성장률이 더욱 둔화될 것이고 경제적, 산업적 
돌파구를 찾지 못한다면, 20여년 후에는 역성장할 가능성 마저 있다고 보는 학자도 있더군요

 


이를 종합해보면
1.베이비 부머 군함들이 대량 퇴역하는 시기(2040)
2.중국 경제성장이 둔화 또는 감소하는 시기(2040)
3.인구 노령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2050)

등이 대략 비슷한 시기로 맞아떨어지게 되는 양태입니다

 


이상의 예측이 맞다는 전제 하에 소햏의 뇌피셜 추리를 더 넓혀보면, 중국의 해군력은


1. 2030년대에 정점을 찍은 후 완만하게 하락하다가
2. 2040년대 ~2050년대에 급격히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정도일텐데, 굉장히 많은 "가정"에 기반한 것이어서 얼마나 타당할지에 대해서는 솔직히 자신이 없습니다만, 
어찌되었든, 수시로 뉴스에 나오는 중국해군의 무시무시한 성장이, 한편으로는 폭탄을 안고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드는 부분도 있습죠

 

결론적으로, 20년만 버티면 된다! 인데, 막상 우리가 20년뒤에 엉망이 되어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니, 
역시 군사력이라는 것은 어렵구나 라고 절감하는 요즘입니다ㅠㅜ

20년 후 장군, 제독이 되어 우리군을 지휘하게될 지금의 대위분들이 부디 우리 군을 잘 이끌어나가 주시기를.....


ㅠㅜ 이상 소햏은 뇌피셜 우울 중궈해군썰을 마칩니댜ㅜㅜ

댓글 3

제냐님의 댓글

회원사진
제냐 2022-10-04 19:05:39 |
좋은글에 추천드립니다.

도깨비님의 댓글의 댓글

회원사진
도깨비 작성자 2022-10-05 17:37:30 | 작성자
감사합니다~ 앞으로 밀리팟이 커지면
톡썰이 자주 올라올 듯 하네요~~~ ^^

947708df님의 댓글

회원사진
947708df 2022-10-24 00:19:36 |
약간 회의적인 의견입니다. 현제 전세계적으로 국방산업의 화두가 무인화인데, 경제력 약화의 영향은 가능하겠지만, 무인화가 진행된다면 인구감소에 대한 영향은 미미해질 것 같습니다. 10년전만 해도 자율주행 자동차가 거리를 활보한다는게 소설에 가까운 이야기 였지만 지금 문밖에서는 이미 행해지고 있는 일이니까요. 기술의 속도는 우리의 상상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전체 15개 게시글
번호
제목
이름

베스트


! 최근 일주일 기준 데이터입니다.

최근글